1. 어깨결림 (견관절주위염)
어깨의 경직과 결림 증상이 있을 때는 근육의 긴장을 풀고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 Y자형 테이프와 I자형 테이프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첫 번째, 누운 자세에서 Y-Tape(폭 5cm, 길이 15cm)를 준비합니다. 테이프 끝을 어깨 위쪽에 고정한 후, 한쪽은 유두 방향을 향해 전흉부에 부착하고, 다른 한쪽은 상완 전면부를 따라 내려가며 부착합니다. 양쪽 어깨 모두 통증이 있다면, 반대쪽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테이핑을 실시합니다.
두 번째, 엎드린 자세에서 I-Tape(폭 5cm, 길이 20cm)를 사용하여 테이프의 중앙을 견갑골 위쪽 선에 고정한 후 좌우로 각각 견갑골을 감싸듯이 부착합니다.
세 번째, Y-Tape(폭 5cm, 길이 15cm)를 다시 사용하여 어깨 윗부분에 고정하고, 한쪽은 견갑골 외측 방향으로, 다른 한쪽은 팔 뒤쪽 방향으로 내려가며 붙입니다. 역시 양쪽 통증이 있는 경우 양 어깨에 동일한 방식으로 부착합니다.
2. 어깨 위 통증 (나른함)
팔을 장시간 들어 사용했거나 긴장으로 인해 어깨 윗부분이 무겁고 나른한 경우, 팔을 들어 팔꿈치를 굽힌 자세를 취합니다.
첫 번째, Y-Tape(폭 5cm, 길이 40cm)의 한 끝을 팔꿈치 아래에 고정한 후, 테이프의 한 갈래는 어깨를 지나 목 뒤쪽까지 이어지도록 부착하고, 다른 갈래는 견갑골 밑을 따라서 척추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부착합니다. 이 방식은 승모근과 견갑부 주변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3. 어깨 통증 (일반)
일상적인 동작이나 운동으로 인한 어깨 통증의 경우, Y-Tape(폭 5cm, 길이 20cm)를 사용합니다.
첫 번째, 팔을 앞쪽으로 들어 어깨를 편 후, 테이프를 어깨 부위에 고정하고 위쪽은 어깨 상단을 수평으로 따라 부착합니다. 아래쪽은 견갑골 바깥 방향으로 감싸듯이 내려 붙입니다.
두 번째, 팔을 내리고 이완한 자세에서, 같은 크기의 Y-Tape를 상완부 외측 중앙에 고정한 뒤, 한 갈래는 어깨 외측의 삼각근을 감싸도록, 다른 갈래는 팔을 바깥으로 돌린 상태에서 어깨 내측 근육을 감싸듯이 부착합니다.
4. 어깨 통증 (과도한 사용)
반복적인 어깨 사용이나 과운동 후 발생하는 통증에는, 먼저 어깨를 뒤로 젖힌 자세를 취합니다.
첫 번째, Y-Tape(폭 5cm, 길이 15cm)의 끝을 어깨 정상부에 고정하고, 한 갈래는 쇄골 아래쪽을 따라 앞쪽으로, 다른 갈래는 겨드랑이 밑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부착합니다.
두 번째, 팔을 아래로 뻗은 상태에서 Y-Tape(폭 5cm, 길이 30cm)를 팔꿈치 아래쪽에 고정한 후, 한쪽은 어깨의 안쪽 방향으로, 다른 쪽은 어깨 바깥쪽으로 감싸며 부착해 어깨 전체를 안정화 시킵니다.
5. 오십견 (유착성 관절낭염)
오십견은 어깨의 유착으로 인해 관절 가동 범위가 제한되고 심한 통증이 동반됩니다. 이 경우에는 I-Tape(폭 1cm, 길이 30cm)를 여러 장 준비하여 경추 6번 부위에 고정합니다.
6. 어깨 탈구
어깨가 탈구되었거나 탈구 이후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목을 반대쪽으로 돌리고 팔을 위로 들어 올립니다.
첫 번째, Y-Tape(폭 5cm, 길이 30cm)를 사용하여 끝을 팔꿈치 안쪽에 고정하고, 한쪽 갈래는 겨드랑이를 지나 어깨 위로, 다른 갈래는 팔 바깥쪽을 따라 어깨 위까지 올라가도록 부착합니다. 이 테이핑은 어깨 관절의 안정성과 재탈구 방지에 도움을 줍니다.